2025/07/06 2

치매 간병의 사각지대, 노노(老老)케어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

늘어나는 치매 환자, 줄지 않는 간병 사각지대대한민국은 2025년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 중 10명 중 1명이 치매를 앓고 있다.치매는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돌봄을 필요로 한다.식사, 배변, 복약, 외출, 수면까지 모든 생활이 타인의 도움 없이는 어려워진다.국가는 치매국가책임제를 도입하고, 치매안심센터를 전국 단위로 확대했지만,현장의 간병 공백은 여전히 심각하다.공공 돌봄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고, 가족 간병은 경제적·정서적 부담이 크다.특히 장기요양등급을 받지 못하거나 등급이 낮은 치매 초기 고령자들은공식 제도의 돌봄 지원을 거의 받지 못한 채 일상 속에서 방치되고 있다.이러한 사각지대 속에서 최근 주목받는 돌봄 방식이 바로‘노노(老老)케어’, 즉 노인이 노인을 돌보는 형태다.건강..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초고령사회에서의 돌봄 재구성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는 말이 현실이 되는 순간“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이 말이 비유가 아닌 현실이 되어가는 시대를 우리는 살아가고 있다.통계청에 따르면, 2025년 대한민국은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된다.그러나 노인의 숫자가 늘어난다고 해서그들의 삶이 더 존중받고 보호되는 것은 아니다.많은 노인들이 빈곤, 질병, 고립이라는 세 가지 고통 속에서일상적인 삶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가족 중심의 돌봄은 약해졌고,국가의 복지 정책은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현실은 명확하다.이대로는 누구도 안전한 노년을 보장받을 수 없다.이 글에서는 왜 지금 대한민국 사회에서‘노인을 위한 나라’라는 말이 공허한 선언으로 느껴지는지,그리고 초고령 사회에서 돌봄 시스템은 어떻게 재구성되어야 하는지구체적으로 ..